자기 자신을 뛰어 넘어라
" 다른 사람보다 훌륭한 사람은 정말로 훌륭하다고 할 수 없다.
종전의 자기보다 훌륭한 사람이야말로 진실로 훌륭한 사람이다. " - 탈무드 -
유대인의 달란트관
' 하느님이 흙으로 사람을 지으시고 생기를 그 코에 불어 넣으시니 사람이 생령이 된지라 ' - 창세기2장7절 -
하느님이 모든 인간에게 주신 달란트
- 자신의 달란트(재능)을 찾아내어 개발하고 새로운 것을 배워 능력 향상에 힘쓰는 유대인
- 달란트를 개발하는 것이 유대인들에게는 하느님의 기대에 부응하는 길
유대인과 배움
- 배움은 그릇을 닦는 것처럼 꾸준한 노력이 필요
- 평생동안 다양한 습득이 요구
- 유대인에게 배움이란 하느님의 섭리를 이해하고, 하느님께 가까이 다가서는 귀한 일이자 기도와 같은 신앙생활
- 즉, 유대인에게 배움이란 '삶의 수단'이 아니라 '삶의 목적'
- 서로 다른 여러가지 배움은 지혜와 통찰력의 근원
- 독서는 통찰력의 원척
- 각기 다른 요소가 융합적으로 작용하여 시너지 효과를 발휘
두 번의 탄생
- 사람으로서 인생의 가장 큰 목적은 무엇일까?
- 자신을 다시 태어나게 하는 것
- 첫 번째 탄생은 어머니를 통한 생물학적인 출생이고, 두 번째 탄생은 자신의 의지로 새로 태어나는 것
진정한 경쟁
- 모든 사람이 지니고 있는 달란트와 창조력
- 자신만의 달란트와 창조력을 개발하기보다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만 앞서려는 현실
- 다른 사람과의 경쟁에서 이기기보다 자기 자신을 극복하는 사람이 더 뛰어나게 되는 법
- 조직에서의 진정한 경쟁은 다른 사람이 아닌 나와의 싸움에서 이기는 것
- 경쟁해야 할 라이벌을 '어제의 나'로 설정
- '오늘의 나'는 놀라운 잠재력으로 예상 외의 능력발휘가 가능
- 즉, '어제의 나'보다 조금씩 나아지는 사람이 훌륭하고 고귀한 사람임
" 타인보다 우수하다고 해서 고귀한 것은 아니다.
과거의 자신보다 우수한 것이야말로 진정으로 고귀한 것이다. " - 어니스트 헤밍웨이
하브루타
- 하브루타는 히브리어로 '친구' 또는 '동반자'를 의미하는 단어로, 유대인의 전통적 학습방법이다. 하브루타는 2명의 학생이 짝을 이루어 서로 질문을 주고 받으며 토론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.
- 하브루타는 유대교 교육의 핵심 요소 중 하나로, 유대인들은 오랜 세월 동안 하브루타를 통해 지식과 지혜를 쌓아왔다.
- 하브루타는 유대인의 종교적 교육 뿐 아니라, 유대교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, 학생들이 서로 협력하고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공동체 정신을 함양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- 하브루타는 유대인의 지적 능력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.
- 학생들은 하브루타를 통해 비판적 사고력, 창의성, 의사소통 능력, 협업 능력을 키울 수 있다.
- 하브루타는 유대인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권에서도 학생들의 지적 능력과 사회성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인 방법으로 평가받고 있다.
댓글